분류 전체보기 149

2023년 자녀장려금 정기신청, 기준, 조건, 지급일 총정리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을 위한 지원으로 자녀 1인당 최대 8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니 조건 확인하시고 장려금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단독가구는 당연히 자녀가 없으므로 지급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1. 자녀장려금 기준 위 사진의 예시를 하나 든다면 자녀가 3명이고 홑벌이가구의 연소득 2,1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자녀 1인당 80만 원씩 240만 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가구의 경우는 연소득이 2,500만 원 이하일 때 근로자녀장려금을 최대치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2,500만 원 ~ 4,000만 원 미만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단계별로 최대치 80만 원에서 최소치 50만 원까지 사이의 금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과 동일한 조건입니다. 근로장려금 조건은 위 포스팅을 참조하시..

복지, Welfare 2023.05.06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조건, 신청기간, 신청방법 총정리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반기신청? 도대체 근로장려금 반기 정기 차이는 무엇일까요? 쉽게 말씀드리면 정기신청은 작년에 일한 1년 치를 한꺼번에 다음 해에 결산하여 받는 것이고 반기신청은 상반기, 하반기를 나눠서 따로 결산하는 것입니다. 1년을 결산하여 1번에 받는 것보다 6개월씩 정산하여 받는 시점을 더 앞당겨서 1년에 2번 나누어서 받을 수 있으니 정기신청보다는 지원금의 체감률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반기신청에 대해 알아보러 가시죠. 1. 근로장려금 반기신청이란? 위에서 설명드린 점과 또 다른 근로장려금 정기 반기 차이는 반기신청의 경우 오직 '근로소득만'있는 거주자(배우자 포함)로서 위에 강조한 부분을 보셨다시피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 종교소..

복지, Welfare 2023.05.06

2023년 근로장려금 기준, 신청방법을 알아봅시다.

어느덧 5월입니다. 열심히 일을 하셨지만 줄어든 소득 때문에 걱정이신 분들께 가구 및 소득 조건으로 산정해서 근로장려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3년 근로장려금 조건을 알아보시고 정기신청분은 5월 기한 내 신청을 못하시면 지원금이 삭감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신청하셔서 100%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근로장려금은 '수입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가구에 금전적인 지원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1. 근로장려금 조건 조건은 크게 가구별 / 소득 조건으로 나뉩니다. 근로장려금 가구별조건은 # 단독 가구는 배우자 / 부양자녀 /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경우 # 홑벌이 가구는 배우자 /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경우 (배우자 총급여액이 300만 원 이하) # 맞벌이 가구는 신청인 / 배우자..

복지, Welfare 2023.05.06

2023년 실업급여 신청방법, 동영상 시청 알아보기.

실업급여 수급조건에 해당되신다면 이제 빠르게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으니 포스팅을 보시고 미리 준비하셔서 헛걸음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신청방법을 차근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이제 알아보러 가시죠. 1. 실업급여 신청방법 위 게시물을 참조하시고 실업급여 수급조건이 되신다면 위의 사진을 보시고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됩니다. 우선 전 직장의 인사과나 담당 부서에서 사무를 봐주시는 분이 이직확인서를 처리해줘야 합니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는 아래 사진을 누르시면 '고용보험'사이트로 이동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사진에 입력된 대로 입력하시고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로 들어가시면 처리가 됐는지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의 처리는 늦으면 2~3주도 걸릴 수 있으니 해..

복지, Welfare 2023.04.30

2023년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계산기, 실업급여 기간

물가는 미친 듯이 오르고 경제상황은 나아질 줄 모르는 요즘 다니시던 직장이 사라지고, 현 직장에서도 인력감축으로 인해 정리해고나 명예퇴직을 당하셔서 생계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조건을 알아보고 빠르게 신청하셔서 다음 구직하기 전까지 실업급여를 통해 경제적인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1. 실업급여 조건 # 실직 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 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 => 초단시간 근로자의 경우는 24개월간 180일 이상 # 비 자발적 퇴사일 것 => 자발적 이직 X, 중대한 귀책사유로 해고 X # 적극적으로 재취업 활동을 할 것 # 이직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일 것 => '자발적 사유'에도 수급자격을 받을 수 있는 경우 1.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 이상 임금체불 2. 이직 전 1년 ..

복지, Welfare 2023.04.28

실업급여 조건 - Q&A

실업급여조건에 관한 궁금한 부분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아래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궁금증이 다 풀리시지는 않겠지만 참고하셔서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 회사에서는 실업급여를 지급하면 고용노동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고 실업급여 지급을 거부합니다. => 근로자의 계약기간 만료 / 질병퇴사, 근로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권고사직 / 원거리 통근 / 육아로 인한 퇴사 등으로 인해 실업급여를 지급한 경우는 지원금이 중단되지 않습니다. 지원금이 중단될 것을 우려해서 사업주가 근로자의 이직사유를 거짓으로 기재한다면 사업주에게 최대 300만 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저는 곧 출산이라 당장 재취업 활동이 어렵습니다." => 질병이나 출산 등 재취업 활동이 어려울 때는 증명서류를 제출하고 '상병급여'를..

복지, Welfare 2023.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