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Welfare

2025년 최저임금을 못 받았다면? 꼭 알아야 할 대처법과 신고 방법!

rainmaker7777777 2025. 2. 17. 18:02

최저임금 체불시 해야 할 행동 썸네일
최저임금 체불시 해야할 행동

 

 

2025년 최저임금을 못 받는다면?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할 행동 가이드

 


 

1. 2025년 최저임금, 얼마인가요?

 

2025년 최저임금은 고용노동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모든 사업장은 해당 금액 이상을 지급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최저임금 금액 및 변동 추이

 

최저임금은 매년 경제 상황, 물가 상승률, 노동시장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존 인상률을 고려했을 때 10,500원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도최저임금(시간당)월급(주 40시간 기준)

 

2023년 9,620원 약 2,010,580원
2024년 10,000원 약 2,090,000원
2025년 10,030원 약 2,196,270원

 

 

📌 최저임금 적용 사항

 

적용 대상: 아르바이트, 정규직, 계약직 등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예외 업종: 일부 업종에서는 최저임금 예외 적용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수습 기간 3개월 이내의 근로자는 일정 비율의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 본인의 근로계약서, 급여명세서를 점검하여 최저임금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세요.

 

🏛 최저임금 기준이 중요한 이유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법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임금입니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며, 근로자는 미지급 임금 및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노동청 신고 및 법적 대응 가능

최저임금보다 적은 임금을 지급할 경우: 체불 임금 소송 가능

 

📌 추가 정보: 최저임금 위반 시 사업주는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2. 최저임금을 못 받았다면? 즉시 확인해야 할 사항

 

📝 본인의 최저임금 적용 여부를 먼저 확인하세요!

  1. 고용 형태: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최저임금 적용 대상입니다.
  2. 급여 계산하기: 주급, 월급, 연봉을 시간당 최저임금으로 나누어 계산해보세요.
  3. 근로계약서 확인: 최저임금 이하의 급여가 책정되었다면 문제 소지가 있습니다.

💡 TIP: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근로 사실이 인정되면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최저임금을 못 받았다면? 해결 방법

✅ 1단계: 사업주(사장님)와 직접 대화하기

 

먼저 사업주에게 정중하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때로는 실수로 인해 최저임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이렇게 말해보세요! 👉 "사장님, 현재 지급받고 있는 급여가 2025년 최저임금보다 낮은 것 같아요.

확인 부탁드려도 될까요?"

 

💡 대화 후에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 문자, 이메일, 메신저 등을 활용하여 증거를 남겨두세요.

✅ 녹취록을 확보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단,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 확인 필요)

 


 

✅ 2단계: 고용노동부에 신고하기

 

사장님과의 대화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공식적인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 고용노동부 신고 방법

신고 방법 설명
전화 신고 ☎️ 1350 (고용노동부 상담센터)
온라인 신고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www.moel.go.kr)
방문 신고 전국 고용노동청 및 지청 방문

 

필요한 서류: 근로계약서, 급여 명세서, 출퇴근 기록 등

노동부 조사 후: 미지급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행정 조치 진행

 


 

✅ 3단계: 법률 지원 및 무료 상담 활용하기

 

최저임금 미지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법률 상담을 받아보세요.

 

📢 무료 법률 지원 기관

기관명 상담 방법
대한법률구조공단 ☎️ 132 (무료 법률 상담)
노동OK 온라인 상담 지원
민주노총 노동상담센터 지역별 노동 상담 진행

 

노동청 신고 후에도 해결되지 않으면 법원에 소송 제기 가능

✅ 체불 임금 소송을 통해 미지급 임금 + 지연이자 받을 수 있음

 


 

4. 2025년 최저임금을 못 받았을 때 꼭 해야 할 행동 정리

최저임금 기준 확인 (근로계약서 및 급여 확인)

사장님과 대화 후 해결 시도 (문서 및 증거 확보)

노동청에 신고 (온라인 또는 방문 접수)

법률 지원을 통해 법적 대응 검토

 

🚀 최저임금은 당신의 권리입니다! 반드시 정당한 급여를 받으세요!